Note/임베디드 노트
ADC에 대해
유니_
2020. 11. 27. 12:54
arm m3에는 ADC 167개 채널의 변환 순서를 정하기 위해 2가지 방법이 존재한다.
1. 레귤러 그룹
- 1개의 16비트 레귤러 데이터 레지스터가 존재하여 채널의 변환 순서를 16개 까지 지정할 수 있다.
- 주로 이 방법을 사용한다.
2. 인젝티드 그룹
- 4개의 16비트 인젝티드 데이터 레지스터가 있는데 이를 이용하면 채널의 변환 순서를 4개까지 지정할 수 있다.
- 인젝티드 그룹은 레귤러 그룹보다 우선순위가 높다.
ADC 기능
1. 단일(single)모드
: ADC 변환을 1번만 수행한다.
2. 연속모드
- 변환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.
** 참고
1. 스캔모드
- 스캔모드는 채널 그룹 내의 모든 채널들을 순서대로 스캔하여 변환한다.
- 연속모드와 같이 사용하면 스캔 모드의 동작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.
2. 비연속모드
- 스캔모드와 반대되는 모드이다.
- 채널 그룹 내의 일부 채널을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변환한다.
- 외부 트리거 신호가 입력되면 n개 채널의 변환만 이루어진다.
- 다시 외부 트리거 신호가 입력될 때 변환이 이루어진다. n개가 되지 않더라도 정해진 변환 순서의 끝이 되면 그대로 종료한다.
** 참고